만약 구매시 자작과 시놀등을 고민하신다면 이글을 참고해 보세요
- Responsive Design. Tested on Google Mobile Friendly
- Header Builder with Live Preview
- Optimized for Google Page Speed as SEO Signal
- Website schema using JSON LD which is recommended by Google
나스를 구매했다. 이제 뭘하지?
이글은 현재 가장 많은 사용자가 있는 시놀로지 나스 대상으로 쓰여졌으며, 시놀로지가 아니라도 참고할 수 있는 부분이 많으니 한번 읽어보시길 바랍니다. 최종목적은 NAS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오픈소스 및 설정등을 소개함으로서 다른 사용자분들은 이런것도 사용하고 있으시구나…정도를 공유하는 차원에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. 간략적인 내용 소개 및 초심자분들이 방향을 잡을 수 있도록 쓰여져 있으니 참고하시고 추가적인 내용이 있으면 언제든지 코멘트 부탁드리겠습니다.
만약 구매시 자작과 시놀등을 고민하신다면 이글을 참고해 보세요
1. 하드디스크 설치 및 공유기 설정 진행하기
A. 일반적인 1개의 하드만 넣는 제품의 경우에는 해당 하드디스크를 장착하여 사용하면 되지만 2개 이상의 하드를 넣는 제품인 경우 Raid*를 생각해서 설치하도록 한다. (링크)(레이드(Raid) 계산기)
B. 사용하고 있는 나스를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해서는 사용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포트를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포트포워딩* 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. 기본적인 시놀로지의 관리자 접속을 위한 5000번 포트 연결을 해주도록 한다.
C. 포트포워딩까지 했으면 DDNS* 도 같이 해보도록 한다. DDNS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으니 자신이 사용하기 편한 서비스를 등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.(시놀 : Quickconnect, 무료 : DuckDNS 등)
2. 기본적인 나스 설정 진행하기
A. 시놀로지 나스에 로그인을 위한 관리자 설정을 해줍니다. 기본적인 네트워크 설정(고정아이피) 및 언어 설정을 하도록 한다. 1-B의 포트포워딩이 제대로 되어있다면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(http://NASIP:5000)
B. 자료의 업/다운을 위한 SMB(afp, webdav)혹은 FTP설정을 진행한다. (링크)
C. 패키지 센터에서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 하도록 한다. (사진 : 포토스테이션, 음악 : 오디오스테이션, 동영상 : 비디오스테이션) 모바일에서 사용을 원하면 해당 모바일 프로그램 설치를 진행하도록 한다.
D. 다운로드 스테이션을 이용하여 토렌토를 받도록 설정해 본다. (링크)